[이슈]넷플릭스 시리즈 ‘애마’, 1980년대 성애 영화의 뒷이야기 재조명

작성자 정보

  • 제크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02f32776d8f0ba3380564c075c269c8d_1756282181_3803.webp
 

1982년 개봉해 한국 에로 영화의 상징으로 남은 ‘애마부인’이 40여 년 만에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됐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6부작 시리즈 ‘애마’가 22일 공개되며 당시 충무로 영화계의 민낯을 조명한다.


‘애마부인’은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 속에서 국내 첫 심야영화로 개봉, 31만 관객을 모으며 흥행했다. 그러나 수많은 속편이 제작된 뒤 지금까지 남은 것은 ‘나체로 말을 타는 여주인공’ 이미지뿐이다. ‘애마’는 이 영화가 탄생한 1980년대를 배경으로, 여성 배우들의 시선을 통해 남성 중심적 영화계의 부조리를 드러낸다.


극 중 당대 톱스타 정희란(이하늬 분)은 ‘애마부인’ 대본의 노골적인 성적 대사에 반발하며 노출 중단을 선언한다. 이에 영화사 대표 구중호(진선규 분)는 신인 오디션을 개최해 신주애(방효린 분)를 주연으로 발탁한다. 신인 감독 곽인우(조현철 분)는 ‘여성의 욕망을 여성의 시선으로’ 그린 영화를 꿈꾸지만, 제작 환경과 권력 관계에 번번이 부딪히며 갈등을 겪는다.


네 주인공의 욕망과 이해관계가 얽히며 극은 전개된다. 화려한 네온사인과 패션이 빛나는 80년대의 외양 뒤에는 여성 연예인 성 상납 같은 구조적 문제들이 드러나며 긴장감을 높인다. 시청자들은 희란과 주애가 무사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기를 응원하게 된다.


연출과 극본을 맡은 이해영 감독은 “80년대는 야만의 시대였다”며 “‘애마’는 부조리 속에서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싸운 이들의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그는 취재 과정에서 당시 언어의 폭력성과, ‘애마부인’이 심의 탓에 오히려 ‘너무 안 야했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덧붙였다.


출연 배우들과 제작진은 당시 열악한 환경 속에서 버텨낸 여성 배우들에게 존경을 표했다. 특히 새 시리즈에서 주인공들이 스스로의 의지로 말을 타고 달리는 장면은 “수많은 ‘애마’들에게 보내는 헌사”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드라마 <애마> 바로보기 클릭!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